워렌버핏이 말한 완전한 투자처













YOUR LINK HERE:


http://youtube.com/watch?v=6_NLgUeM3b8



자, 생각해보자. • ​ • 100만원을 가지고 있다고 해보자. 이 돈을 20년 간 둔다면 얼마가 될까? 20년 후에도 여전히 100만원 일 것이다. 그러나 가치는 어떻게 될까? 훨씬 줄어들 것이다. 바로 그게 인플레이션이다. • ​ • 인플레이션이란 물건 값이 올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화폐가 시장에 공급되어 화폐가치는 떨어지면 물가는 올라간다. 오늘 100만원으로 살 수 있는 것들이 20년 후에는 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 ​ • 인플레이션율을 평균 2.35%라고 잡아보자. 어떤 현상이 일어나나. • 20년 후 100만원의 가치는 62만원 수준으로 떨어진다. 지금 100만원으로 살 수 있는 것들이 20년 후에 62만원어치 밖에 살 수 없게 된다는 말이다. • ​ • 급여가 오르면 괜찮지 않을까? 평균 급여가 매년 3.54%가 오른다고 가정하면 20년 후에는 급여가 약 두 배가 된다. 300만원을 받는 사람이 20년 후에 600만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 다만 문제가 있다. • ​ • 물가도 함께 오른다. 20년간 물가는 평균 2.45%가 오른다. 그러나 집값이 문제다. 부동산은 보통 물가보다 더 빨리 오르는 경우가 많다. • ​ • 20년간 집값은 매년 5.55%씩 오른다. 20년 후에는 지금의 3배가 된다. 그러니 지금 4억원의 집이 20년 뒤에는 12억이 된다. 집을 사려거든 최대한 빨리 사는 것이 맞다. 그러나 최근 출산인구 감소로 인해, 주택가격 상승에 의문이 든다. • ​ • 또한 구매한 주택이 '주거용'이라면 훨씬 더 문제가 된다. 20년 동안 집을 팔지 않고 거주하는 경우, 초기 4억짜리 집에 대해, 대출상환액, 재산세, 유지보수비용, 보험료 등의 다양한 부대비용이 들어간다. 고로 월 300만원 직장인이 20년 간, 주택에 들어가는 비용은 대략 7억원이 된다. 집의 가치가 14억으로 올랐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자산에 대한 가치일 뿐이다. • ​ • 초봉 300만원에 임금이 매년 3.54%씩 상승한다고 가정한다면 20년 간 소득의 절반 이상을 주택에 사용하고 4억원 정도의 잉여금이 남는다. 여기에 20년간이 인플레이션을 적용하면 실질 가치는 2억5천에 그친다. 자동차 구매나 기타 다른 소비가 없다는 가정이 그렇다. • ​ • 그렇다면 • 우리는 아무리 열심히 벌어도 뒤로가는 불운한 자본주의 시장에 살고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실제 자본주의는 언제나 화폐를 가치를 떨어뜨리는 인플레이션 구조를 벗어나지 못한다. • 그렇다면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률, 부동산 상승률, 기타생활비 증가율, 자동차 감가상각률을 모두 감안했을 때, 우리가 제자리 걸음 정도를 겨우 하기 위해서 얼마의 성장을 해야 할까. • ​ • 정답은 매년 14%다. 이렇게 성장하면 10년 뒤에는 270%, 20년 뒤에는 1274%를 하게 하게 된다. 단순히 인플레이션뿐만 아니라 부동산 등 다양한 변수를 생각했을 때의 숫자다. 이런 성장이 우리를 앞서 나가게 한다는 것이 아니다. 이 엄청난 성장은 우리를 비로소 제자리 걸음을 할 수 있게 하는 최소한의 숫자다. • ​ • 매년 14%는 얼마나 큰 숫자인가. 최근 미국 S P의 40년 장기 성장률이 연 9.5%이다. 우리 대부분은 사실상 어떤 투자를 하더라도 평균을 상회는 투자수익을 얻기 쉽지 않다. 그것이 자본주의의 디폴트값이다. • ​ • 지난 20년 동안 삼성전자와 애플, 비트코인의 연평균 성장률은 각각 12%, 24%, 92%다. 삼성전자와 애플, 비트코인과 같은 선택 할 수 있을까? 그런 혜안을 찾는다고 하더라도 항상 대외변수를 생각하고 다음 대안을 찾아나서야 한다. 조금 더 안정적인 투자처는 없을까. • ​ • 자, 그렇다면 이제, 투자의 귀재, 워렌버핏이 말하는 가장 유력한 투자처를 말하겠다. 우리 모두 그곳에 투자할 수 있다. • ​ • 워렌버핏은 말했다. • ​ • 인플레이션 시대에 가장 확실한 투자처는 • ​ • 바로. • ​ • '자신'이다. • ​ • 누군가의 성장을 바라보며 '기도'를 하다가, 그들이 시장에 도태되면 다른 성장을 찾아 다니며 공부하는 것보다 훨씬 능동적인 대처를 할 수 있다. 어떤 리스크보다 안전하며 손실의 위험이 적다. 실패의 책임을 쉽게 찾아 낼 수 있으며 장기적 수익을 만들어 낼 수 있다. • ​ • 이제 우리는 해결책을 찾았다. 매년 14%만 성장하면 된다. • ​ • 그러나 그것이 말처럼 쉬운가. 매년 14%가 얼마나 경이로운 고성장인지는 주식을 해 보면 알 수 있다. 매년 일관적으로 14%씩 성장하는 투자처는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이렇게 생각해보자. • ​ • 아침에 눈을 뜨면, 더도말고 덜도말고 딱, 어제보다 0.036%만 더 성장하는 것이다. 집단보다 개인이 유리한 것이 '기동력'과 '성장력' 아니겠는가. 이런 꾸준한 성장이 쌓이면 스스로 누구도 빼앗아갈 수 없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되는 셈이다.#책, #독서, #도서, #독후감, #서평, #글, #문학, #생각, #논어, #경제, #워렌버핏, #자산, #인플레이션, #돈, #부자, #부, #투자처, #투자, #물가, #연봉, #부동산, #비트코인, #주식, #주가, #자본주의, #성장, #성장률, #화폐, #비즈니스, #경제학

#############################









Content Report
Youtor.org / YTube video Downloader © 2025

created by www.youto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