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전차단기가 내려가는 이유
YOUR LINK HERE:
http://youtube.com/watch?v=SNbZehqIT0c
#누전차단기 #배선차단기 • ⚠️차단기가 떨어지면 어떻게 할까? •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차단기가 떨어지는 경우는 크게 누전이나 과부하의 확률이 높습니다. 전기공사업체를 부르기 전에 스스로 진단이 가능한데요. 진단은 분전반 속 차단기가 전등과 전열라인으로 분리되어 있을 때 가능합니다. 콘센트 차단기에 조명 전선까지 연결이 되어 있다면 진단이 힘들 수 있습니다. • 1) 전등누전으로 의심되는 경우 • 우선 차단기가 내려갔다면 분전반 커버를 열고 어떤 차단기가 내려갔는지 확인합니다. 분전반 내부에는 배선차단기와 누전차단기가 있을텐데, 보통 누전차단기라고 명칭이 표시되어 있으니 확인을 해봅니다. 그리고 전등과 전열이라고 표시가 되어 있는지 체크합니다. • 2) 전열누전으로 의심되는 경우 • 전열이라고 표시된 차단기가 떨어진 경우 전등보다는 다행일 수 있습니다. 우선 해당 차단기가 떨어져서 어떤 곳이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지 체크합니다. 그리고 그곳에 꽂아져 있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모두 뽑아줍니다. 그리고 떨어진 차단기를 다시 올리고 5분 뒤에도 차단기가 떨어지지 않는다면 플러그를 뺀 전자제품이 문제가 있는 겁니다. 다시 해당 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아보고 다시 차단기가 떨어진다면 전자제품 고객센터에 문의를 하면 되겠습니다. • 3) 과부하로 의심되는 경우 • 과부하로 차단기가 떨어지는 경우는 주로 여름철처럼 전력소비량이 전국적으로 많은 시기입니다. 원래 차단기는 구조적으로 배선차단기만 떨어져야 하지만 누전차단기가 떨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왜냐하면 누전차단기 역시 과부하를 감지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과부하는 전력소비가 많은 에어컨과 같은 전자제품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과부하로 차단기가 떨어졌다면 차단기 몸체를 만져보면 다른 차단기와 다르게 열이 느껴집니다. 이 때에는 전자제품 중 전력소비가 많은 제품의 전원을 끄거나 플러그를 빼고 5분 정도 시간이 흐른 뒤 다시 차단기를 올려줍니다. • 하은전기공사는 전기공사업면허 등록업체입니다. • 상업공간, 공공기관, 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의 전기공사를 진행합니다. • ————————————————— • ▷ 010-7373-3142 전기공사 빠른 견적 상담. • ▷ 올바른 개념과 규정에 맞는 시공. • ▷ 네이버 '하은전기공사' 블로그를 확인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