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240개













YOUR LINK HERE:


http://youtube.com/watch?v=gp9luifEkII



물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 [물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240개] • 1) 山高水淸(산고수청): 산은 높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좋음을 이르는 말. • 2) 測水深昧人心(측수심매인심): 물 속 깊이는 알아도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가 어렵다는 말. • 3) 山容水相(산용수상):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 4) 簞食瓢飮(단사표음):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5) 水湧山出(수용산출): 물이 샘솟고 산이 솟아 나온다는 뜻으로, 생각과 재주가 샘솟듯 풍부하여 시나 글을 즉흥적으로 훌륭하게 짓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6) 淡水之交(담수지교): 물과 같은 담박한 사귐이라는 뜻으로, 교양이 있는 군자(君子)의 교제를 이르는 말. • 7) 涸轍鮒魚(학철부어):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라는 뜻으로, 매우 위급한 처지에 있거나 몹시 고단하고 옹색한 사람을 이르는 말. • 8) 落花流水(락화류수):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4)춘앵전이나 처용무에서, 두 팔을 좌우로 한 번씩 뿌리는 춤사위. (5)1929년에 발매한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가요. 김서정(金曙汀)이 작사ㆍ작곡하고, 이정숙(李貞淑)이 노래하였다. 1927년에 만들어진 동명의 무성 영화의 주제가이다. (6)‘낙화유수’의 북한어. • 9) 山盡水窮(산진수궁): 산이 막히고 물줄기가 끊어져 더 갈 길이 없다는 뜻으로, 막다른 경우에 이름을 이르는 말. • 10) 山明水紫(산명수자): 산과 물이 맑고 자줏빛으로 선명하다는 뜻으로, 산수의 경치가 맑고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 11) 數魚混水(수어혼수): 몇 마리의 물고기가 물을 흐린다는 뜻으로, 소수의 장난으로 인하여 다수가 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 • 12) 杯水車薪(배수거신): 한 잔의 물로 수레의 장작불에 끼얹는다는 뜻으로, 아무 소용없는 짓을 비유하는 말. • 13) 陋巷簞瓢(누항단표): (1)‘누항단표’의 북한어. (2)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 14) 無水立沙鷗排草失家蟻(무수입사구배초실가의): 물이 없으니 모래 위에 선 기러기요, 풀을 헤치니 집을 잃은 개미임. • 15) 龍蟠鳳逸(용반봉일): 용이 물속에 몸을 감추고 봉황이 숨는다는 뜻으로, 비범한 재주를 가지고 있는 용과 봉과 같은 것이 아직 그 뜻을 펴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16) 破甕救兒(파옹구아):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한다는 뜻으로,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어릴 때 물독에 빠진 아이를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고사에서 어린아이의 지혜로움을 의미함. • 17) 反水不收(반수불수): 엎질러진 물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이미 지난 일을 후회(後悔)해도 아무 소용(所用)이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18) 河淸(하청): (1)중국 황허강(黃河江)의 물이 맑아지는 일. 흐린 황허강의 물이 천 년에 한 번 맑아진다고 한다. (2)중국 북제 무성제(武成帝) 때의 연호(562~565). 무성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 19) 千山萬水(천산만수): 천 개의 산과 만 개의 내라는 뜻으로, 많은 산과 여러 갈래의 많은 시내를 이르는 말. • 20) 三十六計(삼십육계): (1)물주가 맞힌 사람에게 살돈의 서른여섯 배를 주는 노름. (2)서른여섯 가지의 꾀. 많은 모계(謀計)를 이른다. • 21) 曲水流觴(곡수유상): (1)‘곡수유상’의 북한어. (2)삼월 삼짇날, 굽이도는 물에 잔을 띄워 그 잔이 자기 앞에 오기 전에 시를 짓던 놀이. • 22) 魚水親(어수친): (1)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의 친밀함을 이르는 말. • 23) 懸河之辯(현하지변) • 24) 從諫如流(종간여류) • 25) 綠水靑山(록수청산) • 26) 不誠無物(불성무물) • 27) 樵童汲婦(초동급부) • 28) 山明水麗(산명수려) • 29) 如流(여류) • 30) 棹穿波底月船壓水中天(도천파저월선압수중천) • 31) 轍鮒(철부) • 32) 耕田埋春色汲水斗月光(경전매춘색급수두월광) • 33) 使錢如水(사전여수) • 34) 源淸流淸(원청유청) • 35) 墨悲絲染(묵비사염) • 36) 治山治水(치산치수) • 37) 白雲山上蓋明月水中珠(백운산상개명월수중주) • 38) 夜不踏白(야불답백) • 39) 魚水之親(어수지친) • 40) 萍水(평수) • 41) 水火無交(수화무교) • 42) 探湯(탐탕) • 43) 盛水不漏(성수불루) • 44) 得魚忘筌(득어망전) • 45) 蘭芷漸滫(난지점수) • 46) 濫觴(남상) • 47) 小隙沈舟(소극침주) • 48) 茶飯事(다반사) • 49) 春水滿四澤(춘수만사택) • 50) 魚鹽柴水(어염시수) • 51) 狐濡尾(호유미) • 52) 山戰水戰(산전수전) • 53) 凍氷可折(동빙가절) • 54) 蹄涔(제잠) • 55) 湯池鐵城(탕지철성) • 56) 舟非水不行(주비수불행) • 57) 山容水態(산용수태) • 58) 泡幻(포환) • 59) 綠水鷗前鏡靑松鶴後屛(녹수구전경청송학후병) • 60) 風雲魚水(풍운어수) • 61) 華菅茅束(화관모속) • 62) 懸河口辯(현하구변) • 63) 激而行之(격이행지) • 64) 口如懸河(구여현하) • 65) 爭魚者濡(쟁어자유) • 66) 溪壑(계학) • 67) 春水滿四澤夏雲多奇峯(춘수만사택하운다기봉) • 68) 乾木生水(건목생수) • 69) 冷暖自知(냉난자지) • 70) 甘泉先竭(감천선갈) • 71) 水火相克(수화상극) • 72) 松風水月(송풍수월) • 73) 覆水不收(복수불수) • 74) 天井不知(천정부지) • 75) 玉井秋香(옥정추향) • 76) 背水之陣(배수지진) • 77) 水深魚聚(수심어취) • 78) 千年一淸(천년일청) • 79) 桂玉之艱(계옥지간) • 80) 竭澤而漁(갈택이어) • 81) 蜂房水渦(봉방수와) • 82) 水至淸無魚(수지청무어) • 83) 鐘鳴漏盡(종명누진) • 84) 漁夫之勇(어부지용) • 85) 俟河淸(사하청) • 86) 男奴負薪去女婢汲水來(남노부신거녀비급수래) • 87) 樂山樂水(요산요수) • 88) 浮渭據涇(부위거경) • 89) 尺山尺水(척산척수) • 90) 猿猴取月(원후취월) • 91) 風來水先動雨晴雲始散(풍래수선동우청운시산) • 92) 大海一滴(대해일적) • 93) 知者樂水(지자요수) • 94) 靑山綠水(청산녹수) • 95) 非池中物(비지중물) • 96) 山紫水明(산자수명) • 97) 負重致遠(부중치원) • 98) 赤貧如洗(적빈여세) • 99) 耕山釣水(경산조수) • 100) 山盡水廻(산진수회) • 101) 百年河淸(백년하청) • 102) 蒙網捉魚(몽망착어) • 103) 如魚失水(여어실수) • 104) 菽水之供(숙수지공) • 105) 大安(대안) • 106) 珪璋特達(규장특달) • 107) 水落石出(수락석출) • 108) 魚水之樂(어수지락) • 109) 積水成淵(적수성연) • 110) 泡沫夢幻(포말몽환) • 111) 濯足萬里流(탁족만리류) • 112) 水流雲空(수류운공) • 113) 登山臨水(등산임수) • 114) 攬髮而拯(남발이증) • 115) 揭斧入淵(게부입연) • 116) 洞深花意懶山疊水聲幽(동심화의라산첩수성유) • 117) 背山臨水(배산임수) • 118) 山高水長(산고수장) • 119) 窮鼠齧猫(궁서설묘) • 120) 學如逆水(학여역수) • 121) 枕流漱石(침류수석) • 122) 濯鱗淸流(탁린청류) • 123) 筆翰如流(필한여류) • 124) 流水不腐(유수불부) • 125) 樓觀飛驚(누관비경) • 126) 柳塘春水漫花塢夕陽遲(류당춘수만화오석양지) • 127) 棗東栗西(조동율서) • 128) 逆風逆水(역풍역수) • 129) 激濁揚淸(격탁양청) • 130) 旅體(여체) • 131) 射魚指天(사어지천) • 132) 落湯螃蟹(낙탕방해) • 133) 鯨飮馬食(경음마식) • 134) 以湯止沸(이탕지비) • 135) 轍鮒之急(철부지급) • 136) 波瀾重疊(파란중첩) • 137) 桂玉(계옥) • 138) 覆杯之水(복배지수) • 139) 煙霞之癖(연하지벽) • 140) 水廣則魚遊(수광즉어유) • 141) 涸轍鮒漁(확철부어) • 142) 我田引水(아전인수) • 143) 從善如流(종선여류) • 144) 浩浩湯湯(호호탕탕) • 145) 捉蟹放水(착해방수) • 146) 滄浪自取(창랑자취) • 147) 雲蒸龍變(운증용변) • 148) 勺水不入(작수불입) • 149) 甘井先竭(감정선갈) • 150) 萍水相逢(평수상봉) • 151) 沈浮(침부) • 152) 魚腹孤魂(어복고혼) • 153) 使水逆流(사수역류) • 239) 淘汰(도태): 물에 일고 씻어서 깨끗하게 한다는 뜻으로, (1) 여럿 가운데 쓸데없거나 적당(適當)하지 않은 것이 줄어 없어지거나 줄어서 없어지게 함(2) 물에 넣고 일어서 쓸데없는 것을 가려서 버림. • 240) 覆水不返盆(복수불반분): 엎지른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일단 저지른 일은 다시 되돌릴 수 없다는 말. ≪습유기≫에 나오는 말이다. • [Credits] •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물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 •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 •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

#############################









Content Report
Youtor.org / YTube video Downloader © 2025

created by www.youtor.org